PC, 하드웨어/PC, 하드웨어 관련 정보

하드디스크 기록방식이 SMR인지 PMR인지 구별하는 대략적인 방법과 PMR 방식의 하드디스크 목록

Charlemagne 2019. 7. 8. 17:19

PMR(CMR) 방식은 자기입자를 수직 배열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고, SMR 방식은 PMR 방식의 연장선에 있으나 데이터를 겹쳐서 기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SMR 방식의 하드디스크는 PMR 하드디스크에 비해 안정성과 속도가 떨어집니다.

 

속도는 PMR 하드디스크에 들어간 버퍼보다 더 큰 용량의 버퍼를 장착하여 보완하지만, 그럼에도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액세스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는 두드러집니다.

 

또한 SMR 특성 상 데이터를 겹쳐 쓰기 때문에 데이터 갱신 시 해당 데이터 주변의 데이터 또한 갱신을 위해 쓰고 지우고를 반복해야 하므로, PMR 하드디스크보다 수명이 더 짧으며, 기록 도중 문제가 생기면 기록한 데이터와 실제 저장된 데이터가 다르거나, 데이터가 증발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물론 속도의 경우 단순히 데이터 아카이빙용으로만 사용한다면 평소에 크게 체감할 수 없을 수 있으나, 데이터 아카이빙 역시 일단 데이터를 아카이빙 할 때 기록하는 속도는 체감할 수 있고, 기록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하드디스크 플래터가 물리적, 논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어 내구성과 데이터 무결성에 문제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기업에서 대량으로 구매하는 NAS, 서버, 아카이빙용 대용량 SMR 하드디스크의 경우 대량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대적으로 내구성에 대한 문제에서는 자유로운 편이나,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대량의 스토리지로 이중 삼중으로 백업하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을 것이기에 SMR 하드디스크는 소비자용으로 썩 적합하진 않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제조사와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하드디스크의 기록 방식을 잘 알려주려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기업용 제품은 용도에 따라 SMR인지 PMR인지 고지를 잘 하는 편이나, 소비자향 제품은 PMR이었던 제품이 소리소문없이 SMR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아예 같은 제품명을 가진 하드디스크가 SMR과 PMR 방식을 혼재하여 판매되는 일이 비일비재 합니다.

 

따라서 현명한 구매를 위해서는 미리 PMR 기록 방식을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목록을 알아두거나, 제품의 사양을 보고 간단히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의 안목을 갖춰야 합니다.

 

SMR과 PMR을 간단히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같은 제조사, 같은 용량, 같은 제품군의 하드디스크인데 버퍼 크기가 큰 하드디스크 -> SMR

같은 제조사, 같은 용량, 같은 제품군의 하드디스크인데 버퍼 크기가 작은 하드디스크 -> PMR

4TB 미만인 하드디스크인데 고성능 제품군이 아니면서 버퍼 크기는 128M 이상으로 이상하게 큰 하드디스크 -> SMR

 

이정도로 구분한다면 대략적으로 SMR과 PMR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제조사에 직접 문의하거나 목록을 참고하여 PMR 방식으로만 생산되는 하드디스크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2.5인치 하드디스크는 2019년 기준으로 제조사 불문 전량 SMR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데, 소비자가 PMR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구매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재고가 없다는 이유로 환불해 주는 것이 아닌, 구매자에게 사전 고지도 없이 SMR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신형이라며 발송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추가로, 글 첫 부분에서 말했다시피 SMR은 PMR의 연장선과 같은 기술인데, 이 점을 악용하여 SMR 하드디스크를 PMR 하드디스크로 분류를 뭉뚱그려 판매하는 악의적인 판매자도 있으니 이 또한 주의해야 합니다.

 

 

 

PMR 방식을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목록은 아래를 참조 바랍니다.

 

 

[3.5인치 내장 하드디스크]

WD Blue 중 제품 번호 끝자리가 AZLX, AZRZ, EZRZ인 제품 (2TB와 6TB 제품은 제품 번호가 EZAZ인 경우 SMR)

WD Purple 전 제품

WD Black 전 제품

WD Red Plus 전 제품

WD Red Pro 전 제품

WD Gold 전 제품

WD UltraStar SATA Series 전 제품

WD UltraStar DC HA200 Series 전 제품 - 데이터센터용 제품

WD UltraStar DC HC300 Series 전 제품 - 데이터센터용 제품

WD UltraStar DC HC500 Series 전 제품 - 데이터센터용 제품

Seagate BarraCuda 1TB

Seagate BarraCuda Pro 전 제품

Seagate FireCuda 전 제품

Seagate IronWolf 전 제품 - 데이터센터용 제품

Seagate IronWolf Pro 전 제품 - 데이터센터용 제품

Seagate SkyHawk 전 제품

Seagate SkyHawk AI 전 제품

도시바 P300 500GB, 1TB, 2TB, 3TB 제품

도시바 S300 Pro 전 제품

도시바 X300 전 제품

도시바 N300 전 제품

도시바 MG Series 전 제품

 

[3.5인치 외장 하드디스크]

WD Element 중 8TB 이상

 

[2.5인치 내장 하드디스크]

WD Blue 2.5" 500GB 이하 제품(WD3200LPCX, WD5000LPVX, WD5000LPCX, WD5000LQVX)

WD Black 2.5" 500GB 미만 제품(WD2500LPLX, WD3200LPLX)

WD Red 2.5" 1TB (WD10JFCX)

※ 다만 이 제품들을 사느니 그냥 가격 저렴한 SSD를 사는 게 낫습니다.

 

[2.5인치 외장 하드디스크]

전멸

 

 

 

+ 하드디스크의 경우 기본적인 속도도 느린데다 플래터에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기록 방식으로 인한 속도와 내구성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는 반면, SSD는 데이터를 낸드에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이므로 컨트롤러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 낸드 기록 방식이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에 적어도 소비자향 제품은 기록 방식에 대해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다만 최근에 나오는 QLC 방식의 SSD는 속도 저하 문제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니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 2021년 기준 이 리스트를 굳이 참고할 필요 없이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 한꺼번에 모아놓은 것을 참고하셔도 됩니다.